본문 바로가기

고전가사4

고전가사 정훈 우활가 원문 1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迂濶고2迂濶도 迂濶샤 그레도록 迂濶샤3이바 벗님네야 迂濶 말 들어 보소4이 내 져머신 제 迂濶호미 그지업서5이 몸 삼겨나미 禽獸에 다르므로6愛親敬兄과 忠君弟長을7分內事만 혜엿더니  일도 못되며8세월이 느저지니 平生 迂濶은9날 와 기러간다 아이 부족들10저녁을 근심며 一間茅屋이11비 줄 아돗던가 懸鶉 百結이12붓려움 어이 알며 어리고 미친 말이13 무일 줄 아돗던가 迂濶도 迂濶샤14그레도록 迂濶샤 春山의 곳을 보고15도라올 줄 어이 알며 夏亭의 을 드러16  줄 어이 알며 秋天의  마자17밤드 줄 어이 알며 冬雪에 詩興 계워18치움을 어이 알리 四時佳景을19아므란 줄 모로라 末路애 린 몸이20므스 일을 思念고 人間 是非21듯도 보도 못거든.. 2019. 11. 27.
선상탄 원문 선상탄은 1605년 박인로가 지은 가사입니다. 전쟁의 슬픔이 담겨있습니다. 고전문학 공부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라고 선상탄 원문 올려요. 1늘고 病(병)든 몸을 舟師(주사)로 보실,2乙巳(을사) 三夏(삼하)애 진동영(鎭東營) 려오니,3關防重地(관방 중지)예 炳(병)이 깁다 안자실랴.4一長劒(일장검) 비기 고 兵船(병선)에 구테 올나,5勵氣瞋目(여기진목)야 對馬島(대마도)을 구어보니6람 조친 黃雲(황운)은 遠近(원근)에 사혀 잇고.7아득 滄波(창파) 긴 하과  빗칠쇠. 8船上(선상)에 徘徊(배회)며 古今(고금)을 思憶(사억)고,9어리미친 懷抱(회포)애 軒轅氏(헌원씨)를 애노라.10大洋(대양)이 茫茫(망망)야 天地(천지)예 둘려시니,11진실로  아니면 風波萬里(풍파만리) 밧긔,12어.. 2019. 11. 24.
용비어천가 원문(1장~60장) 고전문학 용비어천가 원문입니다. 1장~60장입니다.수능 혹은 공무원 국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학작품입니다.조선 세종 때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지어진 노래입니다. 1. 제1장 1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2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2제2장1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2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니 제3장1周國(주국) 大王(대왕)이 豳谷(빈곡)애 사샤 帝業(제업)을 여르시니2우리 始祖(시조)ㅣ 慶興(경흥)에 사샤 王業(왕업)을 여르시니 제4장1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어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디시니2野人(야인)ㅅ 서리예 가샤 野人(야인)이 외어늘 德源(덕원) 올샴도 하디시니 .. 2019. 11. 16.
청산별곡 원문 및 해석(해설) 청산별곡은 누가 지었는지 알 수 없는 고대가사입니다. 고려 속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속세에서 벗어나 청산과 바다에서 지내며 자신의 비애를 노래한 것입니다. '얄리얄리 얄라셩'이라는 후렴구로 유명한 가사입니다. 고려 속요 중 ‘서경별곡’, ‘가시리’와 함께 비유성과 문학성이 뛰어난 작품으로 손꼽혀 왔습니다. 1. 정의 : 고려 시대의 평민들이 부르던 민요적 시가로 ‘여요(麗謠)’, ‘장가(長歌)’라 한다.2. 특징 : 리듬이 매끄럽고 표현이 소박하면서도 세련됐다.3. 형성 : 향가와 민요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청산별곡 원문] [청산별곡 해석(해설)] 살고 싶구나 살고 싶구나. 청산에 가서 살고 싶구나.머루와 다래를 먹으면서 청산에서 살고 싶구나. 우는구나 우는구나, 새여! 자고 일어나서 .. 2016.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