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셔경(西京)이 아즐가 | ||||
| 2 | 셔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 ||||
| 3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4 | 닷곤 아즐가 | ||||
| 5 | 닷곤 쇼셩경 고마른 | ||||
| 6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7 | 여므론 아즐가 | ||||
| 8 | 여므논 질삼뵈 리고 | ||||
| 9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10 | 괴시란 아즐가 | ||||
| 11 | 괴시란 우러곰 좃니노이다 | ||||
| 12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13 | 구스리 아즐가 | ||||
| 14 | 구스리 바회예 디신 | ||||
| 15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16 | 긴히 아즐가 | ||||
| 17 | 긴히 그츠리잇가 나 | ||||
| 18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19 | 즈믄를 아즐가 | ||||
| 20 | 즈믄를 외오곰 녀신 | ||||
| 21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22 | 信잇 아즐가 | ||||
| 23 | 信잇 그즈리잇가 나 | ||||
| 24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25 | 大洞江 아즐가 | ||||
| 26 | 大洞江 너븐디 몰라셔 | ||||
| 27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28 | 내여 아즐가 | ||||
| 29 | 내여 노다 샤공아 | ||||
| 30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31 | 네가시 아즐가 | ||||
| 32 | 네가시 럼난디 몰라셔 | ||||
| 33 |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34 | 녈예 아즐가 | ||||
| 35 | 녈예 연즌다 샤공아 | ||||
| 36 |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37 | 大洞江 아즐가 | ||||
| 38 | 大洞江 건넌편 고즐여 | ||||
| 39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 40 | 타들면 아즐가 | ||||
| 41 | 타들면 것고리이다 나 | ||||
| 42 | 위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
출처: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203
골계미가 돋보이는 고려가요 '서경별곡'.
한국 여인의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고전문학 작품입니다.
국어 공부를 하시는 분들에게는
필수로 살펴보아야 하는 의미있는 작품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