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가요2 해가사 원문 및 해석 龜乎龜乎出水路(귀호귀호출수로) 掠人婦女罪何極(약인부녀죄하극) 汝躍悖逆不出獻(여약패역불출헌) 入網捕掠燔之喫(입망포략번지끽) 거북아 거북아 수로(水路)를 내놓아라남의 아내를 빼앗아 간 죄 얼마나 큰가네가 만일 패역하여 내놓지 않으면그물로 잡아서 구워 먹으리라 구지가와 비슷한 내용의 해가사.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의 아내 수로가 동해 용왕에게 붙들려가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여 수로를 구출했다는 말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고대가요 출처: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657 2019. 12. 3. 구지가 원문 및 해석 가락국의 시조인 수로왕의 신화와 관련된 고대가요입니다. 4구체로 되어 있고 삼국유사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 노래를 부르니 하늘에서 6개의 황금알이 내려와서 왕들이 탄생했다고 합니다. 龜何龜何구하구하 首其現也수기현아 若不現也약불현야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 구지가 현대어 풀이도 같이 올려드립니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보이지 않으면 불에 구워 잡아먹으리 구지가는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고전문학이라 국어 시험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고대가요입니다. 2019. 11.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