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2 고려가요 처용가 원문 고려가요 처용가의 원문입니다. 1(前腔) 新羅聖代 昭聖代2天下大平 羅侯德3處容아바4以是人生애 相(常)不語시란5以是人生애 相(常)不語시란 6(附葉) 三災八難이 一時消滅샷다 7(中葉) 어와 아븨즈이[]여 處容아븨 즈이[]여 8(附葉) 滿頭揷花 계오(우)샤 기울어신 머리예 9(小葉) 아으 壽命長願(遠)샤 넙거신 니마해 10(後腔) 山象이슷 깅[]어신 눈닙(섭)에11愛人相見샤 오()어신 누네 12(附葉) 風入盈庭샤 우글어신 귀예 13(中葉) 紅桃花티 븕거신 모야해 14(附葉) 五香 마샤 웅긔어신 고해 15(小葉) 아으 千金 머그샤 어위어신 이베 16(大葉) 白玉琉璃티 여(어)신 닛바래17人讚福盛샤 미나거신 애(개)18七寶 계우샤 숙거신 엇게예19吉慶 계우샤 늘의어신 맷길헤 .. 2019. 12. 29. 해가사 원문 및 해석 龜乎龜乎出水路(귀호귀호출수로) 掠人婦女罪何極(약인부녀죄하극) 汝躍悖逆不出獻(여약패역불출헌) 入網捕掠燔之喫(입망포략번지끽) 거북아 거북아 수로(水路)를 내놓아라남의 아내를 빼앗아 간 죄 얼마나 큰가네가 만일 패역하여 내놓지 않으면그물로 잡아서 구워 먹으리라 구지가와 비슷한 내용의 해가사. 신라 성덕왕 때 순정공의 아내 수로가 동해 용왕에게 붙들려가서 이 노래를 부르게 하여 수로를 구출했다는 말이 전해 내려오고 있습니다. 고대가요 출처: http://www.davincimap.co.kr/davBase/Source/davSource.jsp?Job=Body&SourID=SOUR001657 2019. 12.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