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사4 안조환 만언사 전문 안조환 만언사 전문 1어와 벗님네야 이 내 말씀 들어보소2인생 천지간에 그 아니 느껴온가3평생을 다 살아도 다만지 백년이라4하물며 백년이 반듯기 어려우니5백구지과극이요 창해지일속이라6역려 건곤에 지나가는 손이로다7빌어온 인생이 꿈의 몸 가지고서8남아의 하올 일을 역력히 다 하여도9풀 끝에 이슬이라 오히려 덧없거든10어와 내 일이야 광음을 헤어보니11반생이 채 못되어 六六에 둘이 없네12이왕 일 생각하고 즉금 일 헤아리니13번복도 측량없다 승침도 하도할사14남대되 그러한가 내 홀로 이러한가15아무리 내 일이라 내 역시 내 몰라라16장우단탄 절로 나니 도중상감 뿐이로다 17부모생아 하오실 제 제 죽은 나를 나으시니18부귀공명 하려던지 절도고생 하려던지19천명이 기압던지 선방으로 서험한지20일주야 죽은 아해 .. 2020. 2. 19. 고전가사 정훈 우활가 원문 1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迂濶고2迂濶도 迂濶샤 그레도록 迂濶샤3이바 벗님네야 迂濶 말 들어 보소4이 내 져머신 제 迂濶호미 그지업서5이 몸 삼겨나미 禽獸에 다르므로6愛親敬兄과 忠君弟長을7分內事만 혜엿더니 일도 못되며8세월이 느저지니 平生 迂濶은9날 와 기러간다 아이 부족들10저녁을 근심며 一間茅屋이11비 줄 아돗던가 懸鶉 百結이12붓려움 어이 알며 어리고 미친 말이13 무일 줄 아돗던가 迂濶도 迂濶샤14그레도록 迂濶샤 春山의 곳을 보고15도라올 줄 어이 알며 夏亭의 을 드러16 줄 어이 알며 秋天의 마자17밤드 줄 어이 알며 冬雪에 詩興 계워18치움을 어이 알리 四時佳景을19아므란 줄 모로라 末路애 린 몸이20므스 일을 思念고 人間 是非21듯도 보도 못거든.. 2019. 11. 27. 선상탄 원문 선상탄은 1605년 박인로가 지은 가사입니다. 전쟁의 슬픔이 담겨있습니다. 고전문학 공부하시는 분들은 참고하시라고 선상탄 원문 올려요. 1늘고 病(병)든 몸을 舟師(주사)로 보실,2乙巳(을사) 三夏(삼하)애 진동영(鎭東營) 려오니,3關防重地(관방 중지)예 炳(병)이 깁다 안자실랴.4一長劒(일장검) 비기 고 兵船(병선)에 구테 올나,5勵氣瞋目(여기진목)야 對馬島(대마도)을 구어보니6람 조친 黃雲(황운)은 遠近(원근)에 사혀 잇고.7아득 滄波(창파) 긴 하과 빗칠쇠. 8船上(선상)에 徘徊(배회)며 古今(고금)을 思憶(사억)고,9어리미친 懷抱(회포)애 軒轅氏(헌원씨)를 애노라.10大洋(대양)이 茫茫(망망)야 天地(천지)예 둘려시니,11진실로 아니면 風波萬里(풍파만리) 밧긔,12어.. 2019. 11. 24. 속미인곡 원문 및 해석(해설) 속미인곡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정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읊은 노래로써 서정적이고 여성적인 것이 특징인 송강 정철의 작품입니다. 4음보와 3,4조의 운율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화자는 임으로부터 버림받고 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목소리의 여성입니다.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임금이 계시는 서울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가 다 져서 저물었는데 누구를 만나보러 가시는가? 아, 너로구나. 내 사정 이야기를 들어 보오. 내 생김새와 내 거동이 임께서 사랑함직한가마는 어쩐지 나를 보시고 너로구나 하고 특별히 여기시기에, 나도 임을 믿어 딴 생각이 전혀 없어 응석과 아양을 부리며 귀찮게 굴었던지 반가워하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려 보니 내 몸이 지은 죄 산같이 .. 2016. 12.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