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고전문학44

용비어천가 원문(61장~125장) 1. 제61장1일후믈 놀나  뒤헤 셔샤 手射數人(수사수인)샤 五千賊(오천적) 이기시니2일후믈 저  뒤헤 나샤 手斃無筭(수폐무산)하샤 百艘賊(백소적) 자시니 2. 제62장1도 나가 보샤 일후믈 알외시니 聖武ㅣ어시니 나아오리가2도기 겨신 무러 일후믈 저니 天威어시니 드러오리가 3. 제63장1百步(백보) 채 쏘샤 群豪(군호) 뵈여시늘 陰謀(음모)를 니니다2百步(백보) 여름 쏘샤 衆賓(중빈)을 뵈여시늘 慶爵(경작) 받니다 4. 제64장1天下(천하) 英雄(영웅)이 度量(도량)애 다 드 叛(반) 노 부러 노시니2世上(세상) 豪傑(호걸)이 範圍(범위)예 몯 나 이기 算(산) 짐즛 업게시니 5. 제65장1苑囿(원유)엣 도 티샤 長史(장.. 2019. 11. 21.
용비어천가 원문(1장~60장) 고전문학 용비어천가 원문입니다. 1장~60장입니다.수능 혹은 공무원 국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학작품입니다.조선 세종 때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지어진 노래입니다. 1. 제1장 1海東(해동) 六龍(육룡)이 샤 일마다 天福(천복)이시니2古聖(고성)이 同符(동부)시니 2제2장1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2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니 제3장1周國(주국) 大王(대왕)이 豳谷(빈곡)애 사샤 帝業(제업)을 여르시니2우리 始祖(시조)ㅣ 慶興(경흥)에 사샤 王業(왕업)을 여르시니 제4장1狄人(적인)ㅅ 서리예 가샤 狄人(적인)이 외어늘 岐山(기산) 올샴도 하디시니2野人(야인)ㅅ 서리예 가샤 野人(야인)이 외어늘 德源(덕원) 올샴도 하디시니 .. 2019. 11. 16.
세종어제훈민정음 원문 세종어제훈민정음 원문입니다. 世·솅宗조ᇰ御·ᅌᅥᆼ製·졩 訓·훈民민正·져ᇰ音ᅙᅳᆷ나·랏 :말ᄊᆞ·미 中듕國·귁·에 달·아文문字·ᄍᆞᆼ·와·로 서르 ᄉᆞᄆᆞᆺ·디 아니ᄒᆞᆯ·ᄊᆡ ·이런 젼·ᄎᆞ·로 어·린 百·ᄇᆡᆨ姓·셩·이 니르·고·져 ·호ᇙ ·배 이·셔·도ᄆᆞ·ᄎᆞᆷ:내 제 ·ᄠᅳ·들 시·러 펴·디 :몯ᄒᆞᇙ ·노·미 하·니·라 ·내 ·이·ᄅᆞᆯ 爲·윙·ᄒᆞ·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여·듧 字·ᄍᆞᆼ·ᄅᆞᆯ ᄆᆡᆼ·ᄀᆞ노·니 :사ᄅᆞᆷ:마·다 :ᄒᆡ·ᅇᅧ :수·ᄫᅵ 니·겨 ·날· ·ᄡᅮ·메 便뼌安ᅙᅡᆫ·킈 ᄒᆞ·고·져 ᄒᆞᇙ ᄯᆞᄅᆞ·미니·라 훈민정음의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사용방법에 대해서 한글로 풀이된 것입니다. 2019. 10. 4.
공무도하가 원문 및 해석 公無渡河 공무도하公竟渡河 공경도하墮河而死 타하이사當奈公何 당내공하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임은 결국 물을 건너셨네.물에빠져 돌아가시니가신 임을 어이할까. 공무도하가는 강에 빠져 죽은 임을 슬퍼하는 화자를 주인공으로 하여 지어진 고대가요이다. 백수 광부의 아내가 지었다고 전해지기는 하나 정확한 작가와 시기는 알 수 없다. 2019. 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