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35

속미인곡 원문 및 해석(해설) 속미인곡은 임금을 그리워하는 정을 두 여인의 대화 형식으로 읊은 노래로써 서정적이고 여성적인 것이 특징인 송강 정철의 작품입니다. 4음보와 3,4조의 운율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화자는 임으로부터 버림받고 임을 그리워하는 애절한 목소리의 여성입니다. 저기 가는 저 각시, 본 듯도 하구나. 임금이 계시는 서울을 어찌하여 이별하고 해가 다 져서 저물었는데 누구를 만나보러 가시는가? 아, 너로구나. 내 사정 이야기를 들어 보오. 내 생김새와 내 거동이 임께서 사랑함직한가마는 어쩐지 나를 보시고 너로구나 하고 특별히 여기시기에, 나도 임을 믿어 딴 생각이 전혀 없어 응석과 아양을 부리며 귀찮게 굴었던지 반가워하시는 낯빛이 옛날과 어찌 다르신고? 누워 생각하고 일어나 앉아 헤아려 보니 내 몸이 지은 죄 산같이 .. 2016. 12. 12.
제망매가 원문 및 해석 제망매가는 신라시대 월명사가 누이의 죽음을 겪고 그 슬픔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향찰은 일반인들이 쓰기 어려워서 화랑이나 승려와 같은 귀족 계층이 주로 사용했습니다. 10구체 향가는 '4+4+2'로 구성되어 있으며 2는 '낙구'로서 감탄사로 시작합니다. 제망매가는 뛰어난 비유를 통해서 종교적 슬픔을 승화시킨 작품입니다. 제망매가 원문 제망매가 해석 생사(生死) 길은여기 있으며 두려워하고,나는 간다는 말도 못다 이르고 어찌 갑니까. 어느 가을 이른 바람에이에 저에 떨어질 잎처럼,한 가지에 나고가는 곳 모르는구나. 아아, 미타찰(彌陀刹)에서 만날 나도(道) 닦아 기다리겠노라. 2016. 12. 11.
사미인곡 원문 및 해석(해설) 송강 정철은 고산 윤선도와 더불어 고전시가 문학의 쌍벽을 이루고 있습니다. 사미인곡은 송강이 50세 되던 해에 조정에서 물러난 4년 간 전라도 창평으로 내려가 우거하며 불우한 생활을 하고 있을 때 자신의 처지를 노래한 작품입니다. 뛰어난 우리말 구사와 세련된 표현으로 속편인 ‘속미인곡’과 함께 가사 문학의 최고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갈래 : 서정 가사연대 : 선조18년-22년(1585-1589)율격 : 3(4).4조의 4음보문체 : 운문체. 가사체구성 : 서사, 본사, 결사의 3단 구성. 본사는 춘원(春怨) 하원(夏怨) 추원(秋怨) 동원(冬怨)으로 구성성격 : 연군지사(戀君之詞)주제 : 연군지정(戀君之情) 사미인곡 원문 및 해석(해설) 다운로드 2016. 12. 10.
강원도 방언 모음 강원도 방언은 어두의 경음화, 구개음화, 간극동화, 단모음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특히 어두의 경음화는 다른 지역의 방언보다 강원도 사투리에서 강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어두의 경음화가 뭐나면, 개구리를 깨구리라 말하는 것들을 말합니다. 농사와 관련된 강원도 방언 모음감재를 파다 → 감자를 캐다가르,갈게 → 가루곡석 → 곡식고치 → 고추물외 → 오이옥쌔기 → 옥수수지장 → 기장메물 → 메밀 호칭에 관한 강원도 방언 모음아부지 → 아버지아시 → 아우 (화천 지방)아재 → 미혼의 삼촌아제비 → 미혼의 삼촌 (정선 지방)아주머이 → 아주머니. 부모와 같은 항렬 여자에 대한 호칭 (홍천 지방)아주버이 → 아저씨. 남편의 형제 항렬 남자에 대한 호칭 (홍천 지방)아지미 → 미혼의 고모, 또는 형수어머이 .. 2016.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