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문학35

구지가 원문 및 해석 가락국의 시조인 수로왕의 신화와 관련된 고대가요입니다. 4구체로 되어 있고 삼국유사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 노래를 부르니 하늘에서 6개의 황금알이 내려와서 왕들이 탄생했다고 합니다. 龜何龜何구하구하 首其現也수기현아 若不現也약불현야 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 구지가 현대어 풀이도 같이 올려드립니다.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밀어라 보이지 않으면 불에 구워 잡아먹으리 구지가는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고전문학이라 국어 시험에서도 자주 접할 수 있는 고대가요입니다. 2019. 11. 29.
맹사성 강호사시가 원문 1. 춘사(春詞)1江湖(강호)에 봄이 드니 미친 興(흥)이 절로 난다2濁醪溪邊(탁료계변)에 錦鱗魚(금린어)ㅣ 안주로다3이 몸이 閑暇(한가)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2. 하사(夏詞)1江湖(강호)에 녀름이 드니 草堂(초당)에 일이 업다2有信(유신) 江波(강파) 보내니 람이다3이 몸이 서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3. 추사(秋詞)1江湖(강호)에 이 드니 고기마다 져 잇다2小艇(소정)에 그믈 시러 흘리 여 더뎌 두고3이 몸이 消日(소일)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4. 동사(冬詞)1江湖(강호)에 겨월이 드니 눈 기픠 자히 남다2삿갓 빗기 고 누역으로 오슬 삼아3이 몸이 칩지 아니옴도 亦君恩(역군은)이샷다 강호사시가는 맹사성의 작품입니다. 강호에서 생활하며 자연을 느낀 것을 표현한 내용인.. 2019. 11. 28.
고전가사 정훈 우활가 원문 1엇지 삼긴 몸이 이대도록 迂濶고2迂濶도 迂濶샤 그레도록 迂濶샤3이바 벗님네야 迂濶 말 들어 보소4이 내 져머신 제 迂濶호미 그지업서5이 몸 삼겨나미 禽獸에 다르므로6愛親敬兄과 忠君弟長을7分內事만 혜엿더니  일도 못되며8세월이 느저지니 平生 迂濶은9날 와 기러간다 아이 부족들10저녁을 근심며 一間茅屋이11비 줄 아돗던가 懸鶉 百結이12붓려움 어이 알며 어리고 미친 말이13 무일 줄 아돗던가 迂濶도 迂濶샤14그레도록 迂濶샤 春山의 곳을 보고15도라올 줄 어이 알며 夏亭의 을 드러16  줄 어이 알며 秋天의  마자17밤드 줄 어이 알며 冬雪에 詩興 계워18치움을 어이 알리 四時佳景을19아므란 줄 모로라 末路애 린 몸이20므스 일을 思念고 人間 是非21듯도 보도 못거든.. 2019. 11. 27.
윤선도 어부사시사 원문 어부사시사 원문입니다. 어부사시사는 고산 윤선도의 작품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 사계절 풍경을 노래로 만든 작품입니다. 고산유고에 실려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계절의 자연 속에 있는 어부의 모습을 느낄 수 있습니다. 1. 춘사(春詞)1.1. 11압개예 안 것고 뒫뫼희  비췬다2 떠라  떠라3밤믈은 거의 디고 낟믈이 미러 온다4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5江강村촌 온갓 고지 먼 빗치 더옥 됴타 1.2. 21날이 덥도다 믈 우희 고깃 떧다2닫 드러라 닫 드러라3며기 둘식 세식 오락가락 고야4至지匊국悤총 至지匊국悤총 於어思사臥와5낫대 쥐여 잇다 濁탁酒쥬ㅅ甁병 시릿냐 1.3. 31東동風풍이 건듣 부니 믉결이 고이 닌다2돋 라라, 돋 라라3東동湖호 도라보며 西서湖호로 가쟈스라.4至.. 2019. 11. 26.